로이스 오펜다 - 나무위키

로이스 오펜다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4414771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AS8075(Microsoft Corporation)
토론 역사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로이스 오펜다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Loïs Openda(23-2...
RB 라이프치히 No. 17
로이스 오펜다
Loïs Openda
본명
일코마 로이스 오펜다
Ilkoma Loïs Openda[1]
출생
국적
신체
177cm / 체중 75kg[2]
포지션
주발
오른발 (양발)
소속
유스
파트로 오티 FC (2008~2011)
RFC 리에주 (2011~2013)
스탕다르 리에주 (2013~2015)
클뤼프 브뤼허 (2015~2018)
선수
클뤼프 브뤼허 KV (2018~2022)
SBV 피테서 (2020~2022 / 임대)
RC 랑스 (2022~2023)
RB 라이프치히 (2023~ )
국가대표
16경기 2골[3] (벨기에 / 2022~ )
SNS
X Corp 아이콘(블랙)인스타그램 아이콘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
후원사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2. 클럽 경력[편집]

클뤼프 브뤼허 KV에서 성장하면서 프로에 데뷔를 했고 2020년 SBV 피테서로 임대를 간 이후 잠재력을 폭발했다. 2020-21 시즌 네덜란드 에레디비시 33경기에 나와 10골을 넣었다. 2021-22 시즌에도 비테세에서 임대 생활을 보냈고 33경기에 출전해 18골을 기록했다. 유럽축구연맹(UEFA) 주관 대회에서도 좋은 활약을 이어가며 이름을 알렸다.

2.1. RC 랑스[편집]

2022-23 시즌 RC 랑스로 이적한 오펜다는 프랑스 리그 1에서만 38경기 21골 4도움을 기록하면서 킬리안 음바페, 알렉상드르 라카제트, 조너선 데이비드에 이어 득점랭킹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오펜다의 활약과 함께 랑스는 파리 생제르맹에 이어 리그앙 2위에 올랐다. 랑스의 돌풍과 함께 오펜다는 유럽 최고의 유망주로 떠올랐다.

2.1.1. 이적 사가[편집]

시즌 종료 후 RB 라이프치히첼시 FC 행이 확정된 크리스토퍼 은쿤쿠의 대체자로 그를 영입하기 위해 접촉했고 개인합의를 끝마쳤다고 한다. 랑스의 요구 이적료는 €30M이라고 한다. 다만 두 번의 오퍼 모두 랑스에게 거절을 당함에 따라, 이 이적 사가는 꽤나 장기전이 될 전망이다. 결국 최종적으로는 7월 12일에서야 €38M + 애드온의 금액으로 합의가 되었고, RB 라이프치히행을 알리는 파브리지오 로마노의 Here We Go! 까지 언급되었다.

7월 14일 긴 사가가 막을 내렸다. 라이프치히는 약 €42m+€6m[4]이라는 엄청난 이적료[5]를 지불하면서 로이즈 오펜다 오피셜을 발표했다.

2.2. RB 라이프치히[편집]

2023년 7월 14일, RB 라이프치히로 이적했다. 이적료는 €38M이며 계약 기간은 5년.

2.2.1. 2023-24 시즌[편집]

이적 직후부터 라이프치히의 1옵션 스트라이커로 낙점되어 전 경기 선발 출장을 하고 있으며, 유수프 포울센, 베냐민 세슈코 등과 함께 라이프치히의 공격을 이끌고 있다.

6R FC 바이에른 뮌헨과의 경기에서 전반 20분 크사버 슐라거의 스루패스를 받아 김민재의 압박을 뚫고 득점에 성공하였다.

10월 5일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2차전 맨체스터 시티 FC와의 홈경기에서 후반전 48분 동점골을 만들어냈지만 맨시티는 내리 두 골을 만들어내며 팀은 3:1 역전패하였다.

분데스리가, 챔피언스 리그에서 최근 팀에서 잇따른 골을 만들어내는 선수로 내년 아니면 내후년 여름 빅클럽들이 노릴 수 있는 공격수로 성장하고 있다.

8R SV 다름슈타트 98 전 멀티골로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9R 1. FC 쾰른 전에서도 멀티골을 넣으며 팀의 6:0 대승에 기여하였다. 이 경기 멀티골로 리그 8골 2도움을 기록하였고 득점 3위에 올랐다.

11R SC 프라이부르크 전 페널티 킥으로 추가골을 기록했다.

11월 29일 챔피언스 리그 5차전 맨체스터 시티 FC 원정에서는 무려 맨시티 수비수들을 뚫고 전반전에 멀티골을 먼저 넣는 위엄을 달성했다. 다만 팀은 아쉽게 3골을 연달아 얻어 맞으면서 역전패 당했다.

이번 시즌 오펜다는 2023 발롱도르 후보에 선정된 김민재, 후벵 디아스, 요슈코 그바르디올을 뚫고 득점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축구 팬들에게 상당한 각인을 남겼다.

12월 10일 미러에 따르면 맨유가 제이든 산초앙토니 마르시알을 판매하고 오펜다 영입을 원한다고 한다.

후반기 시작 후 리그 4경기 연속 득점을 기록 중이다. 21R FC 아우크스부르크 전도 전반 39분 동점골을 기록했으나 후반 36분 역전 찬스에서 PK를 실축하며 2:2 무승부의 원흉이 되고 말았다.

5월 14일 폴 오키프에 의하면 토트넘 홋스퍼 FC산티아고 히메네스, 도미닉 솔랑케, 빅토르 요케레스, 아이반 토니, 세루 기라시와 함께 이번 여름 스트라이커 영입 후보라고 소식을 전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벨기에 연령대 대표 시절부터 주전 스트라이커로 뛰며 많은 골을 득점해왔다. 이후 2022년 5월 18일, UEFA 네이션스 리그 3연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A대표팀에 소집되었으며, 6월 8일 폴란드전에서 후반 40분 미시 바추아이 대신 교체로 데뷔한 뒤 들어온지 8분만에 데뷔골을 넣으며 팀의 6:1 대승을 일조했다.

2022년 11월,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캐나다와의 조별리그 1차전에서 후반 33분에 선제골을 기록했던 바추아이 대신 교체로 들어오며 월드컵 데뷔전을 치렀다. 팀은 바추아이의 골을 잘 지켜내며 1:0으로 승리했다.

이후 2,3차전은 출전 없이 벤치를 지켰고, 벨기에는 저조한 경기력으로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하게 되면서 그의 첫 월드컵은 이렇게 끝이 났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주로 스트라이커 포지션에서 뛰지만, 좌우측 윙어도 소화할 수 있으며, 선수 본인도 측면으로 빠지는 움직임을 즐긴다.

특히 랑스에서는 윙어로 나오는 중앙 공격수 출신의 소토카와 스위칭을 통해 소토카가 중앙에 위치하고 오펜다는 측면으로 빠져 상대 수비수와 1대1로 맞붙는 상황이 연출된다. 이 때 오펜다는 자신의 주 무기인 빠른 스피드를 바탕으로 상대를 돌파하는데, 화려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주력과 접기처럼 간단한 기술만으로 상대를 제껴낸다.[6] 또한 단순히 전방에서만 대기하는 것이 아닌 공격이 안 풀릴 때에는 본인이 직접 내려와 주면서 공을 받아준 후 중원에서부터 공을 운반하기도 헌다. 발이 워낙 빠르다 보니, 파울도 자주 얻어낸다.

상대 수비수를 제친 후 오펜다는 본인의 장기인 골 결정력을 발휘해 득점을 만들어냈다, 주발이 오른발인 선수임에도 22-23 시즌 왼발로 7골, 오른발로 5골, 헤딩으로 6골을 득점했을 정도로 고른 득점 분포를 보여준다. 양발 사용 능력은 토트넘의 손흥민을 연상시키고, 측면에서 올라오는 크로스를 빠르게 침투해 헤더로 마무리짓는 능력은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를 연상케한다. 키가 큰 편이 아님에도 주력이 빠르고 위치선정과 헤딩 임팩트 그리고 탄력이 좋다 보니 프리 헤더로 많은 득점을 기록한다.

다만, 오펜다가 개선해야 할 점으로 꼽히는 것은 바로 패싱력. 득점을 마무리하는 슈팅에는 두각을 드러내지만, 자신보다 좋은 위치에 있는 동료에게 건네주거나 측면으로 빠져 컷백을 시도할 때의 패스 정확도가 많이 아쉽다. 또한 스피드를 이용한 역습 전개와 침투를 자주 시도하는 선수이다 보니, 오프사이드 트랩에 자주 걸린다.

정리하자면, 동물적인 운동능력을 주 무기로 활용하는 공격수로, 자신의 빠른 발을 활용할 수 있는 침투나 역습 전술을 활용하는 팀에서 능력이 극대화되는 유형의 공격수다. 다만, 패스를 이용한 연계 플레이나 볼 운반 같은 온더볼 능력이 그다지 좋지 않아서 혼자의 힘으로 수비진에 균열을 내기보다 동료의 공격 지원을 마무리하는 데 좋은 모습을 보인다.

5. 기록[편집]

5.1. 대회 기록[편집]

5.2. 개인 수상[편집]

6. 여담[편집]

  • 원래 그렇게 유망한 선수는 아니였지만 23-24시즌부터 갑자기 떡상했다.

7. 같이 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Péter Gulácsi(23...
Mohamed Simakan(...
Christopher Lenz...
Willi Orbán(23-2...
El Chadaille Bit...
1 (VC)
2
3
4 (C)
5
페테르 굴라치
Péter Gulácsi

헝가리 국기|GK
1990.05.06 (34)
2015~2025
모하메드 시마칸
Mohamed Simakan

프랑스 국기|DF
2000.05.03 (24)
2021~2027
크리스토퍼 렌츠
Christopher Lenz

독일 국기|DF
1994.09.22 (29)
2023~2024
빌리 오르반
Willi Orban

헝가리 국기|DF
1992.11.03 (31)
2015~2027
엘 샤데유 비치아부
El Chadaille Bitshiabu

프랑스 국기|DF
2005.05.16 (19)
2023~2028
Eljif Elmas(23-2...
Dani Olmo(23-24)
Amadou Haidara(2...
Yussuf Poulsen(2...
Nicolas Seiwald(...
6
7
8
9
13
엘리프 엘마스
Eljif Elmas

북마케도니아 국기|MF
1999.09.24 (24)
2024~2028
다니 올모
Dani Olmo

스페인 국기|MF
1998.05.07 (26)
2020~2027
아마두 아이다라
Amadou Haidara

말리 국기|MF
1998.01.31 (26)
2019~2026
유수프 포울센
Yussuf Poulsen

덴마크 국기|FW
1994.06.15 (29)
2013~2026
니콜라스 자이발트
Nicolas Seiwald

오스트리아 국기|MF
2001.05.04 (23)
2023~2028
Christoph Baumga...
Lukas Klosterman...
Loïs Openda(23-2...
Xavi Simons(23-2...
Janis Blaswich(2...
14
16
17
20
21
크리스토프 바움가르트너
Christoph Baumgartner

오스트리아 국기|MF
1999.08.01 (24)
2023~2028
루카스 클로스터만
Lukas Klostermann

독일 국기|DF
1996.06.03 (28)
2014~2028
로이스 오펜다
Loïs Openda

벨기에 국기|FW
2000.02.16 (24)
2023~2028
사비 시몬스
Xavi Simons

네덜란드 국기|MF
2003.04.21 (21)
2023~2024
야니스 블라스비히
Janis Blaswich

독일 국기|GK
1991.05.02 (33)
2022~2026
David Raum(23-24...
Castello Lukeba(...
Xaver Schlager(2...
Leopold Zingerle...
Benjamin Šeško(2...
22
23
24
25
30
다비트 라움
David Raum

독일 국기|DF
1998.04.22 (26)
2022~2027
카스텔로 뤼케바
Castello Lukeba

프랑스 국기|DF
2002.12.17 (21)
2023~2028
크사버 슐라거
Xaver Schlager

오스트리아 국기|MF
1997.09.28 (26)
2022~2026
레오폴트 칭게를레
Leopold Zingerle

독일 국기|GK
1994.04.10 (30)
2023~
베냐민 세슈코
Benjamin Šeško

슬로베니아 국기|FW
2003.05.31 (21)
2023~2028
Tim Köhler(23-24...
Timo Schlieck(23...
Benjamin Henrich...
Kevin Kampl(23-2...
31
36
39
44 (3C)
팀 쾰러
Tim Köhler

독일 국기|DF
2005.05.02 (19)
2022~2024
티모 슐리크
Timo Schlieck

독일 국기|GK
2006.03.02 (18)
2023~2025
베냐민 헨릭스
Benjamin Henrichs

독일 국기|DF
1997.02.23 (27)
2021~2028
케빈 캄플
Kevin Kampl

슬로베니아 국기|MF
1990.10.09 (33)
2017~2026
의장: 올리버 민츨라프 / 감독 : 마르코 로제 / 구장 : 레드불 아레나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
아르노 보다르
(Arnaud Bodart)
1998년 3월 11일 (26세)
0
0
-
쿤 카스테일스
(Koen Casteels)
1992년 6월 25일 (31세)
4
0
-
마츠 셀스
(Matz Sels)
1992년 2월 26일 (32세)
2
0
-
토머스 카민스키
(Thomas Kaminski)
1992년 10월 23일 (31세)
0
0
DF
-
얀 베르통언
(Jan Vertonghen)
1987년 4월 24일 (37세)
145
9
-
티모시 카스타뉴
(Timothy Castagne)
1995년 12월 5일 (28세)
29
2
-
아르투르 테아테
(Arthur Theate)
2000년 5월 25일 (24세)
4
0
-
아민 알다킬
(Ameen Al-Dakhil)
2002년 3월 6일 (22세)
2
0
-
위고 시케
(Hugo Siquet)
2002년 7월 9일 (21세)
0
0
-
제노 데바스트
(Zeno Debast)
2003년 10월 24일 (20세)
3
0
-
바우트 파스
(Wout Faes)
1998년 4월 3일 (26세)
1
0
MF
-
야닉 카라스코
(Yannick Carrasco)
1993년 9월 4일 (30세)
62
8
-
유리 틸레만스
(Youri Tielemans)
1997년 5월 7일 (27세)
60
5
-
샤를 더케텔라러
(Charles De Ketelaere)
2001년 3월 10일 (23세)
11
1
-
올리비에 드망
(Olivier Deman)
2000년 4월 6일 (24세)
1
0
-
아마두 오나나
(Amadou Onana)
2001년 8월 16일 (22세)
4
0
-
오렐 망갈라
(Orel Mangala)
1998년 3월 18일 (26세)
2
0
FW
-
로멜루 루카쿠 주장 아이콘
(Romelu Lukaku)
1993년 5월 13일 (31세)
104
68
-
레안드로 트로사르
(Leandro Trossard)
1994년 12월 4일 (29세)
24
5
-
제레미 도쿠
(Jérémy Doku)
2002년 5월 27일 (22세)
12
2
-
로이스 오펜다
(Loïs Openda)
2000년 2월 16일 (24세)
6
2
-
도디 루케바키오
(Dodi Lukebakio)
1997년 9월 24일 (26세)
12
3
-
미시 바추아이
(Michy Batshuayi)
1993년 10월 2일 (30세)
51
27
-
요한 바카요코
(Johan Bakayoko)
2003년 4월 20일 (21세)
4
1
일정
친선경기
2024년 6월 6일(목)
2024년 6월 18일(화)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4월 26일
[1] ï는 i에 트레마 (Trema)라는 기호가 붙어있는 형태로, 트레마는 모음의 음가를 그대로 살려 읽으라는 뜻의 프랑스어 발음기호다. 때문에 Loi였다면 프랑스어 음가에 의해 "루아"가 되었겠지만, Loïs이기 때문에 모든 음가를 다 살려 읽어 "로이스"가 된다.[2] RB 라이프치히 공식 프로필[3] 2024년 3월 27일 기준[4] 이적료에 관해서는 견해가 나뉜다. LVZ(귀도셰퍼, 랖치 1티어), RBlive(라이프치히 지역지), 키커는 €38m+€6m에서 바뀌지 않았고 프랑스 언론은 일체히 이적료가 €50m에 가깝다고 말했다.[5] 이는 라이프치히의 클럽레코드이다. 또한 랑스의 클럽레코드 판매수입이기기도 하다. 재밌는건 랑스의 클럽 레코드 영입도 오펜다다.[6] 23-24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최고 속도 35.19km/h를 기록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 변경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