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제프 1세 - 나무위키

요제프 1세

최근 수정 시각:
1
편집
이용중인 IP는 문서 훼손행위가 자주 발생하는 IP이므로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이 메세지는 같은 인터넷 공급업체를 사용하는 다른 누군가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85660)
만료일: 무기한
사유: Microsoft 할당 대역(로그인 허용 차단)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밑줄: 대관식을 받은 적이 없는 로마왕이지만 사실상 황제였던 인물

요제프 1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왕조 제11대 황제
요제프 1세
Joseph I
요제프 1세
이름
요제프 야코프 이그나츠 요한 안톤 오이스타히우스
(Joseph Jacob Ignaz Johann Anton Eustachius)
출생
사망
1711년 4월 17일 (향년 32세)
재위기간
헝가리 국왕
서명
요제프 1세 서명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
자녀
마리아 요제파, 레오폴트 요제프, 마리아 아말리아
아버지
어머니
형제
마리아 엘리자베트, 마리아 안나, 마리아 테레지아, 카를 6세, 마리아 요제파, 마리아 막달레네

1. 개요2. 생애3. 요제프 1세와 예술4. 가족관계
4.1. 조상4.2. 아내4.3. 자녀

1. 개요[편집]

신성 로마 제국황제이자 오스트리아 대공, 보헤미아와 헝가리, 크로아티아의 국왕. 카를 6세의 형이자 전임자이다.

2. 생애[편집]

external/upload....
요제프 1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합스부르크 왕가의 수장 레오폴트 1세의 사실상 장남이다. 1690년 부황 레오폴트 1세 생전에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열린 황제선거에서 독일왕으로 선출되었으며 1702년에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일어나자, 일생에 있어 유일한 군복무를 수행했다. 그는 바덴바덴의 변경백인 제국 장군 루트비히 빌헬름의 휘하에 들어가 란다우 공성전에서 활약했다. 1705년, 오스트리아 대공국, 보헤미아 왕국, 헝가리 왕국에르데이 공국크로아티아 왕국합스부르크 왕가의 영지를 물려받았다. 부황과 자신이 가장 신뢰한 장군인 사부아 공자 외젠이탈리아반도에서 활동하거나 말버러 공작 존 처칠과 함께 독일플랑드르에서 프랑스군을 무찌르며 활약하는 동안 요제프 1세는 합스부르크 제국을 이끌 좋은 기회를 잡았다. 시은행을 국가 기구로 정비하고 혼란스러웠던 오스트리아의 재정을 다시 정비하기도 했다.

치세 동안 라코치 페렌츠 2세의 주도로 헝가리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니 헝가리 귀족[1]들과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민병대의 주도로 반란은 진압되었고 라코치 페렌츠 2세는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했다. 부황때 발발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계속 밀어붙여 동생 카를 대공스페인 국왕으로 지지하였다. 그런데 교황 클레멘스 11세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의 둘째 손자 앙주 공작 필리프를 스페인 국왕으로 승인하자 교황과 대립하였고 교황령을 공격했다. 그 결과 교황은 1709년 태도를 바꿔 다시 카를 대공을 지지했다.

천연두에 걸리는 바람에 1711년 3월 빈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일한 아들은 태어난 지 1년 만에 사망했기 때문에 합스부르크 제국은 동생 카를 대공이 물려받았다.[2]

3. 요제프 1세와 예술[편집]

요제프 1세는 조상들처럼 음악과 예술에 상당한 식견을 지니고 있었으며, 심지어 곡을 직접 작곡할 정도였다. 대표곡으론 tutto in pianto가 있는데 현대에도 음반이 발매되어 팔리고 있다.

4. 가족관계[편집]

4.1. 조상[편집]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요제프 1세
(Joseph I)
페르디난트 3세
(Ferdinand III)
페르디난트 2세
(Ferdinand II)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Maria Anna of Bavaria)
스페인의 마리아 아나
(Maria Ana of Spain)
펠리페 3세
(Felipe III)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3]
(Margaret of Austria)
팔츠노이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막달레네
(Eleonore Magdalene of Pfalz-Neuburg)
팔츠 선제후 필리프 빌헬름
(Philipp Wilhelm, Elector Palatine)
노이부르크 궁정백 볼프강 빌헬름
(Wolfgang Wilhelm, Count Palatine of Neuburg)
바이에른의 막달레네
(Magdalene of Bavaria)
헤센다름슈타트의 엘리자베트 아말리
(Elisabeth Amalie of Hesse-Darmstadt)
헤센다름슈타트 방백 게오르크 2세
(Georg II, Landgrave of Hesse-Darmstadt)
작센의 조피 엘레오노레
(Sophie Eleonore of Saxony)

4.2. 아내[편집]

4.3. 자녀[편집]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녀
폴란드의 왕비 마리아 유제파
(Maria Josepha, Queen of Poland)
아우구스트 3세
슬하 5남 7녀[4]
1남
레오폴트 요제프 대공
(Archduke Leopold Joseph)
2녀
신성 로마 제국의 황후 마리아 아말리아
(Maria Amalia, Holy Roman Empress)
카를 7세
슬하 2남 5녀[5]

[1] 특히나 오스트리아의 왕령 헝가리 영토였던 서부에 기반한 헝가리인 귀족들은 정당한 혼인상속을 통해 헝가리 왕위를 세습한 합스부르크 왕가를 지지했고, 라코치 페렌츠 2세의 봉기를 반역으로 간주하여 경계했다.[2] 카를 대공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토를 물려받는 대신에 스페인 왕위 계승을 포기했다.[3] 페르디난트 1세의 손녀다.[4]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스페인의 왕비 마리아 아말리아, 프란츠 크사버 왕자, 테셴 공작 알베르트 카지미어[5]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 변경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