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사학의 대부 레오폴드 폰 랑케와 일본식 실증사학의 비교
광고

실증사학의 대부 레오폴드 폰 랑케와 일본식 실증사학의 비교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05/06 [06:32]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실증사학은 레오폴드 폰 랑케(Leopold von Ranke)가 주장하는 것에 입각하여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랑케의 주장을 면밀히 보면 Wie es eigentlich gewesen, 즉 "있는 그대로의 과거"를 보고 판별하자는 것이다. 비판적인 방법을 엄격히 적용하여 사료 속에 담겨진 순수한 사실을 발견해 내는 것이 바로 실증사학의 기본 원리다. 그러나 랑케의 주장과는 달리 그의 사관을 다른 열강 국가들은 진정한 객관성이 아닌 제국주의적 지배 사관에 입각하여 객관적 타당성(Objective validity)을 내세우며 지배 논리를 정당화했다. 

 

랑케가 개체적 사실들의 연관을 발전으로 파악했으며, 그 발전의 양상은 구체적으로 지배적 이념을 통해 나타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빚어진 오해와 오산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여러 나라를 거쳐 이것이 일본에 들어왔을 때는 일본식의 실증사관(實證史觀)으로 불려 주관적으로 해석해 그로 인한 비도덕적 행위, 연구 윤리를 벗어난 행위들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사관은 우리에게 그대로 이어진다. 당시 단재 신채호 선생이나 백암 박은식 선생 등의 역사학자들이 랑케가 누군지, Empirical history가 무엇인지 제대로 인식했었겠는가?

 

랑케가 주장한 부분에 대해 우리는 그 사관을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 실증사학 연구 방법론은 크게 '사실해명중시' 또는 '사료비판중시'로 나뉘는데 사실해명중시론은 정확한 사료를 통해서 연역적 추론으로 역사를 분석하는 방법을 말하고 사료비판중시론은 사료 외의 고고학적 근거, 기타 비(非) 사료적 요소로 발견적 또는 귀납적 추론으로 분석하는 방법인데 나는 둘 다 중시한다. 그래서 랑케가 주장했던 실증사학론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다만 그것을 후대에 이용하고 주관적인 추론에 맞추는 자들이 잘못된 것이다. 게다가 일본식 실증사관론(實證史觀論)은 군국주의적 사관에 맞추어 이용되어 왔다는 것에서 더 큰 문제점이 있다. 

 

일본식 실증사관론(實證史觀論)과 랑케의 Empirical history에 대하여 비교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태까지 그런 논의도 없었고 재야에서는 실증사관이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태반이다. 게다가 일본식 실증사관론(實證史觀論)과 랑케의 Empirical history를 혼동하고 있으며 모두 제국주의적 학문으로 귀결시키는 것은 아직 연구방법론에 대해 학문적 트레이닝이 되어있지 않은 현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제라도 일본식 실증사관론(實證史觀論)과 랑케의 Empirical history를 분리하여 비교하고 연구에 있어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고 없어져야 할 것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진정한 실증이란, 확실한 고증과 토론과 논란을 통해 최대한 접근한 근거, 고고학, 인류학, 역사학 3요소 모두 맞물려 들어가는 것이 아니겠는가?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 Comparison of Empirical History with Leopold von Langke and Japanese Empirical History

columnist Jeong Gil-sun

 

The empirical studies that historians think of are often judged based on what Leopold von Ranke argues. However, if you look closely at Ranke's argument, you can judge it by looking at Wie es eigentlich gewesen, that is, the "past as it is". The basic principle of empirical history is to strictly apply critical methods to discover pure facts contained in the historical records. However, contrary to Ranke's argument, other powers justified the ruling logic by advocating objective validity based on the imperialist dominant view rather than true objectivity. 

 

It was a misunderstanding and miscalculation caused by Lanke'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facts as development, and he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pattern was specifically manifested through dominant ideology. And when it came to Japan through various countries, it was called a Japanese-style empirical view (實證 history 觀) and interpreted subjectively, resulting in immoral behavior and behavior outside of research ethics. And such a view continues to us as it is. At that time, would historians such as Danjae Shin Chae-ho and Baekam Park Eun-sik have properly recognized who Lanke was and what his imperial history was?

 

We need to evoke that view on Ranke's argument. The research methodology of empirical history is largely divided into 'factual emphasis' or 'fodder criticism'. In fact, the theory of truthful criticism refers to a method of analyzing history through deductive reasoning through accurate historical sources, and the theory of historical criticism refers to a method of analyzing by heuristic or inductive reasoning with archaeological grounds other than historical sources or other non-fodder elements, but I value both. Therefore, the empirical theory that Ranke argued for is not wrong. However, those who use it later and fit it into subjective reasoning are wrong. In addition, there is a bigger problem in that the Japanese-style theory of empirical 觀 has been used in line with the militaristic view. 

 

I think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discuss the Japanese-style empirical 觀 theory and Lancet's imperial history. There has been no such discussion so far, and most of them do not understand what a empirical view i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Japanese-style empirical 觀 theory and Lancet's imperial history are confused, and the fact that all of them result in imperial studies clearly shows that there is no academic training in research methodology. Even now, I think that the Japanese-style empirical 觀 theory and Lancet's imperial history should be compared separately, and what is acceptable and what should be accepted in the study should disappear. Isn't true demonstration a combination of all three elements of evidence, archaeology, anthropology, and history that have been approached as much as possible through solid historical 實證, discussion, and controversy?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