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리페 6세 - 나무위키

펠리페 6세

최근 수정 시각:
18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4414771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AS8075(Microsoft Corporation)
토론 역사
펠리페 6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 2007년 스페인의 방송국 안테나3가 스페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스페인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안토니오 마차도
미겔 인두리안
미카엘 세르베투스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로라 플로레스
로시오 주라도
그레고리오 마라뇬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이사벨 판토하
호세 오르테가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비센테 페레르
페드로 두케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카마롱 데 라 이슬라
아스투리아스의 펠라기우스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산티아고 카리요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미겔 에르난데스
후안 마누엘 세라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아구스티나 데 아라곤
호아킨 사비나
앙헬 니에토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조르디 푸졸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파퀴리
몽세라 카바예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이삭 페랄
미겔 길라
엘 코르도베스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마리아노 바울바시드
프란시스코 페르난데스 오초아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마놀레테
에두아르도 칠리다
페란 아드리아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에밀리오 보틴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세바 바예스테레스
페데리코 바하몬테스
카르멘 아마야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빈센트 블라스코 이바네스
마누엘 산타나
알리시아 코플로비츠
안토니오 루이스 솔러
자코네로
출처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49년
8월 15일
대통령
1960년
8월 13일
대통령
대한민국
1963년
12월 5일
12월 17일
대통령
대한민국
1967년
6월 23일
영부인
대한민국
1979년
12월 7일
대통령
대한민국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
12월 7일
영부인
대한민국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영부인
대한민국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영부인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대통령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영부인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대통령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영부인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대통령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대통령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9일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영부인
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대통령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빌헬미네 뤼브케
영부인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
2월 1일
2월 7일
1966년
2월 1일
2월 7일
틍쿠 인탄 자하라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국왕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시리낏 끼띠야콘
왕비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5일
총통
1968년
5월 10일
5월 18일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총통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티마이아인
남베트남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대통령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아이샤 디오리
영부인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대통령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영부인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대통령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조세핀 봉고
영부인
가봉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대통령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영부인
세네갈
1980년
5월 11일
국왕
1980년
5월 14일
국왕
1981년
6월 25일
대통령
1981년
6월 25일
시티 하티나
영부인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9일
국왕
말레이시아
1981년
6월 29일
틍쿠 아프잔
왕비
말레이시아
1981년
7월 6일
대통령
1981년
7월 6일
영부인
필리핀
1981년
10월 13일
대통령
1981년
10월 13일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영부인
코스타리카
1982년
5월 10일
대통령
1982년
6월 7일
대통령
1982년
6월 7일
보비 라다와
영부인
자이르
1982년
8월 25일
대통령
세네갈
1982년
12월 21일
대통령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대통령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영부인
수단
1983년
9월 10일
국왕
1983년
9월 10일
누르
왕비
요르단
1984년
4월 9일
국왕
1984년
4월 21일
국왕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대통령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치렐 자와라
영부인
감비아
1985년
5월 17일
대통령
1985년
5월 20일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6년
9월 4일
4월 10일
국왕
1986년
9월 4일
4월 16일
국왕
1987년
4월 7일
대통령
1988년
11월 3일
국왕
말레이시아
1988년
11월 3일
자나리아
왕비
말레이시아
1989년
11월 3일
11월 20일
대통령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대통령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다니엘 미테랑
영부인
프랑스
1990년
6월 21일
대통령
1990년
11월 5일
대통령
1991년
9월 13일
국왕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13일
투안쿠 바이눈
왕비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25일
대통령
1992년
8월 13일
대통령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대통령
필리핀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영부인
필리핀
1994년
11월 7일
11월 21일
대통령
1994년
12월 5일
12월 9일
대통령
1995년
2월 7일
2월 16일
대통령
1995년
2월 21일
3월 6일
대통령
독일
1995년
3월 28일
4월 3일
대통령
1995년
6월 26일
7월 7일
대통령
1995년
9월 26일
9월 29일
대통령
1996년
7월 23일
9월 4일
대통령
과테말라
1996년
7월 23일
대통령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국왕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왕비
스페인
1996년
11월 26일
국왕
말레이시아
1996년
12월 10일
12월 15일
대통령
2000년
2월 22일
3월 3일
대통령
2000년
2월 22일
3월 6일
대통령
프랑스
2006년
3월 12일
대통령
2007년
3월 26일
국왕
쿠웨이트
2007년
3월 28일
국왕
카타르
2009년
5월 13일
대통령
2009년
11월 12일
대통령
2012년
5월 30일
국왕
2012년
11월 21일
대통령
2018년
10월 8일
대통령
2019년
국왕
2021년
6월 14일
대통령
2021년
6월 16일
국왕
2021년
6월 16일
왕비
2021년
8월 25일
대통령
2021년
9월 21일
대통령
2023년
7월 13일
대통령
2023년
11월 21일
국왕
스페인 보르본 왕조 제13대 국왕
펠리페 6세
Felipe VI
IMG 20200213 223...
출생
스페인국 마드리드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로레토 병원
재위기간
스페인 국왕
서명
펠리페 6세 서명
[ 펼치기 · 접기 ]
가문
이름
펠리페 후안 파블로 알폰소 데토도스 로스산토스 데 보르본 이 데 그레시아
(Felipe Juan Pablo Alfonso de Todos los Santos de Borbón y de Grecia)[1]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엘레나, 크리스티나
배우자
자녀
장녀 레오노르, 차녀 소피아
종교
신체
197cm[2]
1. 개요2. 작위
2.1. 생애2.2. 재위 이후
3. 결혼4. 가족관계
4.1. 조상4.2. 자녀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스페인 보르본 왕조의 국왕. 1746년 펠리페 5세 국왕이 세상을 떠난 지 268년 만에 탄생한 펠리페라는 이름을 쓰는 국왕이다.

캐나다에서 고등학교를 마치고 스페인으로 돌아와 육군, 해군, 공군 사관학교에서 3년 동안 군사 훈련을 받은 후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3]

2. 작위[편집]

스페인 국왕 휘장
문장[4]
공식 칭호는 스페인의 왕(Rey de España), 카스티야·레온·아라곤·양 시칠리아·예루살렘·나바르·그라나다·톨레도·발렌시아·갈리시아·마요르카·세비야·사르데냐·코르도바·코르시카·무르시아·하엔·알가르브·알헤시라스·지브롤터·카나리아 제도·동인도 및 서인도 제도 그리고 대양의 섬들과 대지의 왕(Rey de Castilla, de León, de Aragón, de las Dos Sicilias, de Jerusalén, de Navarra, de Granada, de Toledo, de Valencia, de Galicia, de Mallorca, de Sevilla, de Cerdeña, de Córdoba, de Córcega, de Murcia, de Jaén, de los Algarves, de Algeciras, de Gibraltar, de las Islas Canarias, de las Indias Orientales y Occidentales, y de las Islas y Tierra Firme del Mar Océano), 오스트리아의 대공(Archiduque de Austria), 부르군트와 브라반트·밀라노·아테네 및 네오파트라의 공작(Duque de Borgoña y de Brabante, de Milán, de Atenas y de Neopatria), 오리스타노의 후작(Marqués de Oristano), 합스부르크·플랑드르·티롤·바르셀로나·루시용·세르다냐 및 고샤노의 백작(Conde de Habsburgo, de Flandes, del Tirol, de Barcelona, del Rosellón, de la Cerdaña y del Gocíano), 비스케이와 몰리나의 영주(Señor de Vizcaya y de Molina)이다.[5]
  • 스페인의 인판테 펠리페 전하 Su Alteza Real el Infante Felipe de España (1968년 1월 30일 ~ 1977년 1월 22일)
  • 아스투리아스 공 전하 Su Alteza Real el Príncipe de Asturias (1977년 1월 22일 ~ 2014년 6월 19일)
  • 국왕 폐하 Su Majestad el Rey de España (2014년 6월 19일 ~ 현재)

2.1. 생애[편집]

2.2. 재위 이후[편집]

부왕 후안 카를로스 1세가 건강 악화 및 사치스러운 행동에 대한 국민의 비난에 책임을 지고 2014년 6월 18일 퇴위하여, 6월 19일 0시를 기해 스페인의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스페인의 경제 위기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의 조별리그 탈락 등[6] 국가적 악재 때문에, 화려한 축하 행사는 하지 않기로 하였으며 대관식[7] 등 전통적인 가톨릭 예식도 배제했다. 그리고 같은 날 왕위 승계와 왕정 유지에 반대하는 공화파 시위가 마드리드 시내 한복판인 솔 관문 광장을 비롯한 스페인 전국에서 터졌고, 이 과정에서 3명이 연행되면서 결과만 보면 즉위 첫날부터 반대파 정치범에 탄압을 가한 국왕이 되어버렸다.[8]

그럼에도 펠리페를 향한 기대감은 꽤 큰 편이었기에 한 조사에서 국민들로부터 66%의 지지를 얻었다. 추문으로 왕실의 지지도가 바닥을 치고 입헌군주제 자체를 반대하는 국민들의 숫자가 절반을 넘는 와중임을 감안하면 상당한 지지다. 기본적으로 낡은 왕실에 불어올 새로운 바람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만, 펠리페 자체가 가진 소탈하고 수더분한 매력이 많은 호감을 끌어들이고 있다는 평가다.

즉위 직후 첫 공식 외국 방문지는 바티칸으로 결정되었으며, 6월 30일 프란치스코 교황을 만났다. 이어 다음 달 7일에는 모로코를, 14일에는 포르투갈을 방문하는 등 주변국을 잇달아 찾았다. 9월에는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에 참석해 스페인의 2015년~2016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진출에도 힘을 보탰다.

2017년 들어 카탈루냐 자치정부가 자체독립 투표를 실시하고 카탈루냐 독립운동 문제가 불거지자 국왕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대국민 연설에 나섰다. # 스페인 왕실의 입장은 "스페인 헌법에 위반되기에 카탈루냐 독립운동은 용인될 수 없다"로 요약될 수 있다. 스페인 중앙정부는 카탈루냐의 독립 움직임에 '자치권 몰수'라는 강경카드로 압박하고 있다.

2019년 카탈루냐 독립운동이 다시 커지자 가족들과 직접 바르셀로나에 방문하였다. 특히 왕위 계승자인 맏이 레오노르 공주가 펠리페 6세 국왕이 수여하는 청년공로상 시상식에서 카탈루냐어로 연설하는 등 반독립 여론을 결집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2020년 코로나 19 사태에 겹쳐 8월 부왕 후안 카를로스 1세가 각종 비리 문제로 국외 망명을 떠나면서 분노한 국민들의 왕정 폐지 여론이 매우 높아지고 있어, 펠리페 6세에게도 최대의 정치적 위기가 찾아온 상태이다. 펠리페 6세는 아버지 유산의 상속을 포기한다고 발표하고 전직 국왕에게 지급되는 국가 연금도 취소했다.

2021년 3월 25일. 스페인 국왕으로 역사상 첫 안도라 공식방문이 이뤄졌다.#

3. 결혼[편집]

펠리페는 유럽에서 인기있는 남성 왕족 중 한 사람이었다. 197cm의 큰 키에 믿음직한 외모, 스포츠로 다져진 몸매, 거기에 더해지는 '스페인의 왕세자'란 타이틀은 그를 20살 무렵부터 인기인에 꼽히가 했다. 그렇다 보니 연애도 늘 화제가 되었다. 그간 스페인 귀족 출신의 이사벨 사르토리우스, 미국 조지타운대 유학 시절 만난 여대생 지젤 하워드, 노르웨이속옷 모델 에바 새넘 등과 차례로 교제했다. 하지만 국적과 귀천을 가리는 왕실과 보수층의 벽에 막혀 새넘과의 결실을 이뤄내는 데 실패했다.[9]
80433fe9256b4f57...
결혼식
현재 아내인 4살 연하의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와는 1년 남짓한 연애 끝에 2004년 5월 22일결혼했다. 레티시아는 원래 스페인 국영방송에서 앵커를 했던 언론인으로, 펠리페와 결혼하기 전에 나이 많은 고등학교 철학 교사와 결혼했지만 얼마 못 가 이혼한 전력이 있다. 그런데 첫 남편과 10대 때부터 사귀며 동거했던 게 드러나 더 논란이었다. 이혼 전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언론인 시절에 미국인 유부남과 불륜 관계였다고 하고, 낙태마약 복용 같은 좋지 못한 과거가 있다는 주장을 그녀의 친척이 제기하여 파문이 일기도 했다.

4. 가족관계[편집]

4.1. 조상[편집]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펠리페 6세
(Felipe VI)
바르셀로나 백작 후안
(Infante Juan, Count of Barcelona)
알폰소 13세
(Alfonso XIII)
바텐베르크의 빅토리아 유지니 공녀
(Princess Victoria Eugenie of Battenberg)
부르봉양시칠리아의 마리아 데 라스 메르세데스 공주
(Princess María de las Mercedes of Bourbon-Two Sicilies)
부르봉양시칠리아의 카를로스 왕자
(Prince Carlos of Bourbon-Two Sicilies)
오를레앙의 루이즈 공주
(Princess Louise of Orléans)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공주
(Princess Sophia of Greece and Denmark)
프로이센의 조피 공주
(Princess Sophia of Prussia)
하노버의 프리데리케 공주
(Princess Frederica of Hanover)
프로이센의 빅토리아 루이제 공주
(Princess Victoria Louise of Prussia)

4.2. 자녀[편집]

20231213 014723
2023년 가족 사진
자녀
이름
출생
1녀
아스투리아스 여공 레오노르
(Leonor, Princess of Asturias)
2녀
인판타 소피아
(Infanta Sofía of Spain)

슬하에 두 을 두고 있다. 장녀는 2005년 10월에 태어난 아스투리아스 여공 레오노르이며 차녀는 2007년 4월에 태어난 인판타 소피아다. 현재 스페인 왕실은 남자 우선 왕위승계법을 두고 있지만,[10] 현재 펠리페에게 아들이 없기 때문에 후안 카를로스 1세 재위 시절부터 장녀인 레오노르가 차차기 왕위계승권자였다.

5. 여담[편집]

  • 역대 여느 왕보다 수더분하고 진솔하다고 평가되고 있다. "아이들이 미디어에 너무 많이 노출될 수 있다."는 아내와 어머니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어린 두 딸과 스스럼 없이 시간을 많이 보내며, 동물원을 함께 가거나 학교에 직접 데려다 주고 그 과정이 언론에 노출되기도 한다. 딸들이 지나치게 특별한 대우를 받는 것도,[11] 사생활이 없어지는 것도 원치 않는다고.
  • 풍성한 턱수염이 특징으로, 2014년 즉위식 무렵에 잠시 깎았으나 다시 기르고 있다. 수염을 깎으면 어머니 소피아 왕대비와 비슷하다. 특히 나이를 먹을수록 더더욱 닮아가고 있다. 스페인 왕실이 소피아 왕대비의 유전자가 강한지라 엘레나, 크리스티나, 펠리페 뿐만 아니라 손주들의 대부분이 소피아 왕대비와 닮았다.
  • 레알 마드리드의 팬인 후안 카를로스 1세와는 달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팬이며 명예 회장이기도 하다. 도시 내 더비 경기가 극성으로 유명한 마드리드에서는 마드리드 더비 하는 날 시내에서는 레콜레토스 대로라는 같은 큰 도로에 있는 시벨레스 동상[14]과 넵튠 동상[15] 사이에 있는 프라도 미술관을 경계로 빈 맥주병들이 서로 날아 다닐 사이 시외에 있는 사르수엘라 궁전[16]속에도 전선이 그인다고 농담을 하곤 한다.
  • 국왕이 된 직후 스페인의 자동차 회사인 세아트에 찾아가서, 자신이 세자 시절에 타던 이비자를 리스토어를 해 줄 것을 요청했다. 다만 리스토어가 되자 리스토어가 된 본인의 차량을 가져가지 않고, 세아트 사의 자동차 전시품으로 맡겼다.#
  • 한국을 두 번 방문하였다. 첫 번째는 왕세자 신분이던 1988 서울올림픽 당시 누나 크리스티나 공주의 요트 경기를 참관하기 위한 방문이었고, 두 번째는 2019년에 수교 70주년을 기념하여 방문했다. 해당 방한에서 레티시아 왕비와 함께 10월 24일 서울 명예시민증을 받았다.

6.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1] 첫번째 이름인 펠리페는 스페인 보르본 왕조 시조인 펠리페 5세에서, 두번째 이름인 후안은 친할아버지인 바르셀로나 백작 후안에서, 세번째 이름인 파블로는 외할아버지 그리스 왕 파블로스(Παύλος Α΄ της Ελλάδας)에서, 알폰소는 친증조할아버지 알폰소 13세에서 따왔고, 마지막으로 데 토도스 로스 산토스(de Todos los Santos)는 스페인어로 '모든 성인'이라는 뜻이다. 성씨 보르본 이 그레시아는 부계와 모계의 성씨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2] #[3] 당시 룸메이트가 1살 위의 외사촌형인 그리스의 마지막 왕세자인 파블로스였다고 한다.[4]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카스티야 왕국, 레온 왕국, 나바라 왕국, 그라나다 왕국, 아라곤 왕국의 깃발. 가운데는 보르본 왕가의 문장.[5] 거의 대부분은 아버지가 달고 있었던 것들이다. 유럽 군주들은 과거 보유했던 칭호들을 현실과 상관없이 유지하는 관습이 있으며, 칭호를 남겨둔다고 해서 진지하게 그 영토에 대한 통치권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당 국가들과는 정상적으로 외교관계를 맺는다.[6] 참고로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1954 스위스 월드컵, 1958 스웨덴 월드컵1970 멕시코 월드컵, 그리고 1974 서독 월드컵의 4개 대회를 예선탈락으로 나가지 못한 것 외에는 1998 프랑스 월드컵에서 조별탈락을 한 번 한 적이 있다. 그만큼 2014 브라질 월드컵의 조별라운드 탈락은 국가적인 충격이었던 셈. 더욱이 메이저 대회 3연패를 기록한 팀이자 월드컵 디펜딩 챔피언이 조별리그 2연패로 조기 탈락하였기에 충격이 더했다.[7] 다만 스페인은 1379년 카스티야 연합 왕국후안 1세 이후로는 대관식을 하지 않았다. 아라곤 왕국으로 범위를 넓혀도 1414년 페란도 1세가 마지막이었으며, 나바라 왕국은 1484년 카탈리나호아네스 3세가 마지막으로 대관식을 치렀다.[8] 사실 치안 문제를 비롯한 스페인의 국가 행정 대부분은 법적으로 행정부의 책임이지, 의 책임은 아니긴 하다. 스페인은 엄연히 왕은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입헌군주제이지, 전제군주제가 아니기 때문. 그러나 군대, 경찰, 사법계에 깊은 뿌리를 내리고 있는 스페인 보수 우익 세력은 프란시스코 프랑코 독재 정권 시절부터 각종 혼맥과 인맥으로 결속되어 있는데 이들의 구심점에 스페인 보르본 왕가가 있다. 따라서 왕실에게 책임의 화살이 날아간다.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입헌군주국이지만, 국정의 많은 부분이 사적인 이해 관계로 움직이는 나라 스페인에서 그 사적 이해 집단의 중심에 바로 스페인 보르본 왕가가 있는 것이다.[9] 결과적으로 새넘이 펠리페와 결혼하는 데 실패한 이유는 호콘 왕세자하고 메테마리트와의 결혼식에 참석해서 입은 드레스 때문이다.# 할리우드 스타도 아니고 로열 웨딩에서 노출이 심한 드레스를 입어서 당시에도 욕을 엄청 먹었고, 지금도 최악의 로열 웨딩 하객 패션으로 꼽힐 정도.[10] 후안 카를로스 1세 전 국왕에게는 큰 딸인 엘레나 공주와 작은 딸인 크리스티나 공주가 있었지만, 남자 왕족 우선의 왕위 승계법상 왕위 계승자 지위는 아들이자 막내인 펠리페 6세에게 넘어갔다.[11] 실제로 펠리페는 초등학교 시절 가장 친한 친구의 생일 잔치에 참석하지 못했던 적이 있다. 학급의 모든 친구들이 참석했지만 정작 그는 가지 못했는데, 생일을 맞은 친구의 부모가 왕실에 어떻게 초대장을 보내야 하는지 몰랐기 때문. 그때의 경험 이후 자신이 특별 대우를 받는 것을 꺼린다고. 그래서 유럽의 명문대학이 아니라 미국의 학교로 유학을 떠난 것도, 펠리페가 스페인 왕실의 그늘에서 벗어나 자립심을 키우고자 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12] 요르요스 1세 기준으로 7촌이며, 크리스티안 9세 기준으로는 10촌, 빅토리아 여왕 기준으로는 10촌(부왕 후안 카를로스 1세나 외조부 파블로스 쪽으로) 또는 11촌(외조모 프레데리카 왕비 쪽으로)이다. 즉, 부계 쪽으로 가나 모계 쪽으로 가나 결국 빅토리아 여왕이 조상이다.[13] 또한 러시아 황실인 로마노프 왕조 후손들 중 한 명인데, 두 사람 모두 니콜라이 1세의 손녀 올가 왕비의 후손이기 때문이다.[14] 레알 마드리드의 상징[15]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상징[16] 현 스페인 왕실의 일상 거주지[17] 스페인 카탈루냐, 발렌시아, 발레아레스 제도 지방들의 공용어이며 아라곤 지방 일부에서도 쓰인다. 사실상 스페인의 제 2언어.[18] 펠리페 6세가 고등학교 시절 유학한 캐나다프랑스어영어가 공용어이다. 미국 생활까지 했으니 영어는 어려움 없이 구사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도 통역없이 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 변경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