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미야스 타케히로 - 나무위키

토미야스 타케히로

최근 수정 시각:
22
편집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토론 역사
Tomiyasu Takehir...
아스날 FC No. 18
토미야스 타케히로
冨安(とみやす) 健洋(たけひろ) | Takehiro Tomiyasu
출생
국적
신체
188cm / 체중 78kg
포지션
주발
오른발 (양발)
소속
유스
선수
국가대표
41경기 1골[2] (일본 / 2018~ )
응원가
링크
인스타그램 아이콘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
일본 대표팀 - 16번, 22번[3]
아비스파 후쿠오카 - 14번, 21번, 32번
신트트라위던 VV - 3번
볼로냐 FC - 14번
아스날 FC - 18번
후원사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일본 국적의 아스날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풀백.

2. 클럽 경력[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토미야스 타케히로/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토미야스 타케히로/국가대표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수비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양발을 모두 잘 쓰며 188cm의 큰 키에도 불구하고 주력이 상당해서 공간 커버 능력이 준수한 편이다.[4] 기본기를 강조하는 일본 출신 선수답게 발밑 기술이 잘 잡혀있는데, 이를 모두 양발로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어서 팀의 후방 빌드업이 매끄럽게 진행되는데 많은 기여를 한다.

유럽 이적 후 주로 라이트백으로 뛰고 있지만, 양발 활용 능력 덕분에 레프트백도 소화 가능하며, 큰 키 덕분에 국가대표팀에서는 센터백을 소화한다.[5] 덕분에 툭하면 누군가 다쳐서 나가버리는 소속팀 아스날에서 수비진에서 누군가가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하게 되는 경우, 웬만하면 토미야스가 채워줄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이 23/24 시즌에 특히나 잘 보이는데, 새로 영입한 위리엔 팀버르가 장기부상을 끊어버리고, 인저리 프론인 올렉산드르 진첸코가 혼자서 왼쪽 풀백을 맡아야 하는 상황에 토미야스가 둘의 공백을 적절히 채워줄 수 있었다. 이렇게 좌우 풀백부터 센터백까지 모든 수비 포지션에서 준수한 수준의 실력을 보여줄 수 있으며, 경기 상황이나 교체카드 사용에 따라 경기 중에도 포지션을 이동하면서 팀의 필요에 따라 맞춰 움직여준다는 것은 분명 큰 장점이다.

풀백으로 뛸 경우 센터백의 중앙 자리까지 커버하는 넓은 수비 범위를 보여준다. 4백의 풀백으로 출전하여도 사실상 3백의 스토퍼급의 넓은 수비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수비 스킬도 상당히 안정적으로 측면이나 중앙 어디에서든 수준급의 1대1 맨마킹과 태클을 보여주는데, 수비가 상당히 깔끔하고 안정감이 높다. 전술 이해도와 포지셔닝 또한 뛰어나며 경합을 피하는 성격도 아니고 투쟁심과 좋은 멘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마킹이나 태클 기술을 갖춰 수비 안정감이 높다.

아스날에서는 3선 조합이 공격적인 성향이 강하고 수비에 약점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3백의 스토퍼와 동시에 풀백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빌드업 작업과 수비 시에는 국대에서 센터백 역할을 했던 경험을 활용해 공중볼 처리와 양발 빌드업 지원을 해주고 공격시에는 순간적으로 오버래핑해서 사카 밑에서 측면 공격을 풀어준다. 공격적인 지표에는 아쉬움이 있다는 평이 있지만 현 아스날 전술에서는 토미야스가 센터백 역할까지 해주고 있으므로 사실 공격 포인트가 낮은 것은 전술상 당연한 지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측면 공격 과정에서 사카, 외데고르와 삼각편대를 구성하여 아스날의 우측 공격 작업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양발잡이가 가지는 패스 타이밍이나 패스 선택지의 이점을 십분 활용하며 동료에게 도움을 주는 오프더볼 움직임을 쉴 새 없이 가져가며 공격과정에서 윤활유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크로스 퀄리티 역시 눈에 띄게 좋아졌다. 21-22 시즌 사우스햄튼과의 리그 1차전에서 외데고르의 추가골은 토미야스의 티어니를 향한 정확한 얼리 크로스를 기점으로 터졌다.

다만 모든 장점을 덮는 치명적인 결점이 있는데, 바로 유리몸 기질. 선수 본인이 모든 수비 포지션의 역할을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나 다른 선수들이 부상으로 백업이 필요한 상황에 그 가치가 극대화되는 선수인데, 정작 그런 본인이 유리몸이라서 경기를 소화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모순에 빠져있다. 아스날 이적 이후 잦은 부상에 시달리고 있는데, 이것이 처음 다쳤을 때 복귀를 서두른 탓인지 아니면 거친 프리미어 리그 스타일을 이겨낼 내구력이 안되는 것인지는 22/23 시즌을 지켜보자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22/23 시즌 시작 이후로 계속해서 부상에 시달리다가 결국 중반기에 경합하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고 후반기에 아웃이 되면서 유리몸 대열에 합류하는 중. 원래 세리에 A 시절에도 잔부상을 달고 다니는 편이었는데, 훨씬 압박 강도가 높고 거친 프리미어 리그에서 이 단점이 더 치명적으로 작용하는 모양이다. 23/24 시즌 전반기에도 출전을 했다 하면 언제나 준수한 활약을 보이며 이달의 선수까지 받았지만, 결국 또다시 부상을 당하고 말았다.

또 하나의 단점이 있다면 센터백으로 출전 시 경합 상황에서 생각보다 밀릴 때가 많다는 점이다. 키도 크고 몸싸움을 피하지도 않지만, 키에 비해 체중이 비교적 적게 나가고 코어 힘이 약한 편이라 떡대 좋은 스트라이커들과의 경합 상황에서는 밀리는 일이 잦다. 이 문제가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서 크게 드러나 일본은 대회 내내 어려움을 겪었고 수비적으로 불안하다는 평을 들었다. 그가 유럽 무대에서 센터백보다 풀백으로 자주 출전하는 것에는 이런 까닭도 있다.

5. 기록[편집]

5.1. 대회 기록[편집]

5.2. 개인 수상[편집]

  • IFFHS 올해의 AFC팀: 2020, 2021
  • IFFHS 10년의 AFC팀 (2011~2020)

6. 여담[편집]

  • 이름인 타케히로(健洋)는 건강(康)하고 태평양(太平)같이 넓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되라는 의미라고 한다.
  • 2019년 10월 기준 트랜스퍼마크트가 선정한 아시아인 몸값 베스트 11에서 센터백 포지션에 뽑혔다.

    transfermarkt mo...
  • 2020년 2월 EA 스포츠의 유명 축구게임 FIFA 20의 게임 디자이너 'Firefut'이 선정한 커리어모드에서 포텐셜이 가장 높은 세리에 U23 올스타에서는 오른쪽 풀백으로 선정되었다.# 토미야스는 센터백이 주포지션이지만 세리에 A에서는 풀백으로 많이 뛰었기 때문에 라이트백으로 선정되었다.

    4C789D45-62A4-4E...
  • 2021년 3월 25일 대한민국과의 평가전에서 공과 상관없는 상황에 이동준이 쓸데없이 휘두른 팔에 맞는 바람에 입에서 출혈이 발생했고, 앞니가 빠진 듯한 장면이 카메라에 잡혔다.[6] 곧바로 이동준이 사과를 했으나 안 그래도 경기 내외의 상황이 모두 좋지 않던 본 평가전에서 굉장히 질이 나쁜 반칙을 범한 탓에 이동준은 한일 양국 팬들이 모두 비난의 목소리를 들었다.[7] 이에 대해 토미야스는 인스타그램에 "경기 중에 으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며, 고의가 아니라 믿고 있고 사과 메세지들도 많이 받고 있으니 별 일이 되지 않길 바란다." 라면서 대인배스럽게 넘어가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후 AC 밀란과의 경기 후 인터뷰에서 볼로냐 도심지에 있는 치과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받았다면서 걱정하지 말라고 이야기를 전했다.
  • 아스날에서 만족하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이며, "토트넘을 거절하고 아스날에 왔다." 라고 발언을 했다. 하지만 이적 링크 당시 파브리지오 로마노의 의하면 토트넘이 노린다는 얘길 듣고 토미야스는 흥분 상태라고 했으며, 마이클 브릿지에 의하면 토트넘이 토미야스에 관심이 있던 것은 사실이지만, 에메르송 로얄의 영입이 가능하다고 듣는 순간, 이메르송에 올인했다고 한다. 후에 알려진 사실로는 토미야스는 "언론을 통해 토트넘 링크가 뜨는 줄 알고 토트넘에 가는 줄 알았지만 데드라인 전에 취소가 되었고 아스날이 8월 30일에 오퍼하여 아스날로 이적했다."라고 일본어로 한 인터뷰를 아스날의 한 내부 기자가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오역한 것으로 알려졌다.

7. 같이 보기[편집]

아스날 FC 로고
아스날 FC 2023-24 시즌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Aaron Ramsdale 2...
William Saliba 2...
Ben White 23-24
Thomas Partey 23...
Gabriel Magalhãe...
1
2
4
5
6
아론 램스데일
Aaron Ramsdale
[HG]
잉글랜드 국기 | GK
1998.05.14
2021~2028
윌리엄 살리바
William Saliba
[HG]
프랑스 국기 | DF
2001.03.24
2019~2027
벤 화이트
Ben White
[HG]
잉글랜드 국기 | DF
1997.10.08
2021~2029
토마스 파티
Thomas Partey

가나 국기 | MF
1993.06.13
2020~2025
가브리에우 마갈량이스
Gabriel Magalhães

브라질 국기 | DF
1997.12.19
2020~2027
Bukayo Saka 23-2...
Martin Ødegaard ...
Gabriel Jesus 23...
Emile Smith Rowe...
Gabriel Martinel...
7
8 (C)
9 (VC)
10
11
부카요 사카
Bukayo Saka
[HG]
잉글랜드 국기 | FW
2001.09.08
2019~2027
마르틴 외데고르
Martin Ødegaard

노르웨이 국기 | MF
1998.12.17
2021~2028
가브리에우 제주스
Gabriel Jesus

브라질 국기 | FW
1997.04.03
2022~2027
에밀 스미스 로우
Emile Smith Rowe
[HG]
잉글랜드 국기 | MF
2000.07.28
2020~2026
가브리에우 마르티넬리
Gabriel Martinelli
[HG]
브라질 국기 FW
2001.06.18
2019~2027
Jurriën Timber 2...
Eddie Nketiah 23...
Jakub Kiwior 23-...
아스날 FC 로고
Tomiyasu Takehir...
12
14
15
17
18
위리엔 팀버르
Jurrien Timber

네덜란드 국기 DF
2001.06.17
2023~2028
에디 은케티아
Eddie Nketiah
[HG]
잉글랜드 국기 | FW
1999.05.20
2019~2027
야쿠프 키비오르
Jakub Kiwior

폴란드 국기 | DF
2000.02.17
2023~2028
토미야스 타케히로
Takehiro Tomiyasu

일본 국기 | DF
1998.11.05
2021~2027
Leandro Trossard...
Jorginho 23-24
Fàbio Vieira 23-...
David Raya 23-24
Reiss Nelson 23-...
19
20 (3C)
21
22
24
레안드로 트로사르
Leandro Trossard

벨기에 국기 | MF
1994.12.04
2023~2027
조르지뉴
Jorginho

이탈리아 국기 | MF
1991.12.20
2023~2025
파비우 비에이라
Fàbio Vieira

포르투갈 국기 | MF
2000.05.30
2022~2027
다비드 라야
David Raya
[HG]
스페인 국기 | GK
1995.09.15
2023~2024 임대
리스 넬슨
Reiss Nelson
[HG]
잉글랜드 국기 | FW
1999.12.10
2019~2027
Mohamed Elneny 2...
Kai Havertz 23-2...
Karl Hein 23-24
Oleksandr Zinche...
Declan Rice 23-2...
25
29
31
35
41
모하메드 엘네니
Mohamed Elneny

이집트 국기 | MF
1992.07.11
2016~2024
카이 하베르츠
Kai Havertz

독일 국기 | MF
1999.06.11
2023~2028
칼 야콥 헤인
Karl Jakob Hein

에스토니아 국기 | GK
2002.12.17
2020~2025
올렉산드르 진첸코
Oleksandr Zinchenko

우크라이나 국기 | DF
1996.12.15
2022~2026
데클란 라이스
Declan Rice
[HG]
잉글랜드 국기 | MF
1999.01.14
2023~2029
아스날 FC 2023-24 시즌 임대 선수
Kieran Tierney 2...
p437626
Arthur Okonkwo 2...
p437742(2)
p479683 22-23
17
3
33
28
77
키어런 티어니
Kieran Tierney

스코틀랜드 국기 | DF
1997.06.05
2019~2026
레알 소시에다드 임대
2024.06.30 복귀
누누 타바레스
Nuno Tavares

포르투갈 국기 | DF
2000.01.26
2021~2026
노팅엄 포레스트 FC 임대
2024.06.30 복귀
아서 오콩코
Arthur Okonkwo
[HG]
잉글랜드 국기 | GK
2001.09.09
2021~2024
렉섬 AFC 임대
2024.06.30 복귀
알베르 삼비 로콩가
Albert Sambi Lokonga

벨기에 국기 | MF
1999.10.22
2021~2026
루턴 타운 FC 임대
2024.06.30 복귀
마르키뉴스
Marquinhos
[U-21]
브라질 국기 | FW
2003.04.07
2022~2027
플루미넨시 FC 임대
2024.12.31 복귀
구단주: 아스날 홀딩스 공개주식회사 / 감독: 미켈 아르테타 / 홈 구장: 에미레이트 스타디움
출처: 아스날 FC 공식 홈페이지, 프리미어 리그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16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HG]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1.11 [U-21] U-21 자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
유럽 축구 연맹 로고
1부 리그
[ 펼치기 · 접기 ]
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
[ 펼치기 · 접기 ]
라리가 EA SPORTS 로고
[ 펼치기 · 접기 ]
세리에 A 로고
[ 펼치기 · 접기 ]
리그 1 워드마크
[ 펼치기 · 접기 ]
logo-cssl-white
[ 펼치기 · 접기 ]
덴마크 수페르리가 로고
[ 펼치기 · 접기 ]
hnl hq white 202...
[ 펼치기 · 접기 ]
알스벤스칸 로고 가로형
[ 펼치기 · 접기 ]
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
[ 펼치기 · 접기 ]
Liga I casa
[ 펼치기 · 접기 ]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 신 로고
[ 펼치기 · 접기 ]
Azerbaijan Premi...
[ 펼치기 · 접기 ]
prva liga telema...
[ 펼치기 · 접기 ]
베이카우스리가 로고
[ 펼치기 · 접기 ]
에이 리가
[ 펼치기 · 접기 ]
2부 리그
[ 펼치기 · 접기 ]
EFL 챔피언십 로고(가로형)
[ 펼치기 · 접기 ]
라리가 하이퍼모션 로고 화이트
[ 펼치기 · 접기 ]
에이르스터 디비시 로고 201...
[ 펼치기 · 접기 ]
리그 2 워드마크
[ 펼치기 · 접기 ]
리가 포르투갈 2 가로 로고
[ 펼치기 · 접기 ]
아드미랄 오스트리아 2. 리가...
[ 펼치기 · 접기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마에카와 다이야
(Daiya Maekawa)
1994년 9월 8일 (29세)
1
0
오사코 케이스케
(Keisuke Osako)
1999년 7월 28일 (24세)
7
0
23
스즈키 자이온
(Zion Suzuki)
2002년 8월 21일 (21세)
9
0
DF
나가토모 유토
(Yuto Nagatomo)
1986년 9월 12일 (37세)
142
4
스가와라 유키나리
(Yukinari Sugawara)
2000년 6월 28일 (23세)
11
1
타니구치 쇼고
(Shogo Taniguchi)
1991년 7월 15일 (32세)
26
1
이타쿠라 코
(Ko Itakura)
1997년 1월 27일 (27세)
26
1
마치다 코키
(Koki Machida)
1997년 8월 25일 (26세)
8
0
마이쿠마 세이야
(Seiya Maikuma)
1997년 10월 16일 (26세)
8
0
이토 히로키
(Hiroki Ito)
1999년 5월 12일 (25세)
16
1
하시오카 다이키
(Daiki Hashioka)
1999년 5월 17일 (25세)
7
0
와타나베 츠요시
(Tsuyoshi Watanabe)
1997년 2월 5일 (27세)
3
0
MF
5
모리타 히데마사
(Hidemasa Morita)
1995년 5월 10일 (29세)
32
3
6
엔도 와타루
(Wataru Endo)
1993년 2월 9일 (31세)
60
3
다나카 아오
(Ao Tanaka)
1998년 9월 10일 (25세)
25
7
미나미노 타쿠미
(Takumi Minamino)
1995년 1월 16일 (29세)
57
20
도안 리츠
(Ritsu Dōan)
1998년 6월 16일 (25세)
47
8
나카무라 케이토
(Keito Nakamura)
2000년 7월 28일 (23세)
8
6
소마 유키
(Yuki Soma)
1997년 2월 25일 (27세)
12
4
쿠보 타케후사
(Takefusa Kubo)
2001년 6월 4일 (22세)
34
4
사노 카이슈
(Kaishu Sano)
2000년 12월 30일 (23세)
4
0
카와무라 타쿠무
(Takumu Kawamura)
1999년 8월 28일 (24세)
1
1
FW
9
1998년 8월 28일 (25세)
24
11
오가와 코키
(Koki Ogawa)
1997년 8월 8일 (26세)
1
3
아사노 타쿠마
(Takuma Asano)
1994년 11월 10일 (29세)
51
9
마에다 다이젠
(Daizen Maeda)
1997년 10월 20일 (26세)
16
3
출처: 영어 위키백과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3월 14일





[1] 좌우 풀백 모두 소화 가능하다.[2] 2024년 2월 3일 기준.[3] 요시다 마야의 국가대표 은퇴로 인해 2023년부터 사용중이다.[4] 21-22 시즌 첫 북런던 더비에서 라이트백으로 출전해 손흥민을 철저히 마크하면서 우측 뒷공간을 커버했다.[5] 아스날 소속으로 2023-24 시즌에서만 EFL컵 3라운드 브렌트포드 FC전 센터백,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3차전 세비야 FC전 레프트백, 프리미어 리그 12라운드 번리 FC전 라이트백을 풀타임으로 소화했다.[6] 이후 게시한 인스타그램 게시글에 요시다 마야가 '그는 이빨이 없는 사람'이라는 댓글을 남긴 걸 보니 정말로 이가 빠진 듯 하다.[7] 그러나 이 경기에서 VAR을 실시하지 않아 이동준은 퇴장을 당하지는 않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 변경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