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에 걸린 사랑 - 나무위키

마법에 걸린 사랑

최근 수정 시각:
10
편집 요청
이용중인 IP는 문서 훼손행위가 자주 발생하는 IP이므로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이 메세지는 같은 인터넷 공급업체를 사용하는 다른 누군가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85660)
만료일: 무기한
사유: Microsoft 할당 대역(로그인 허용 차단)

편집 권한이 부족한 경우 아래의 '편집 요청' 버튼으로 편집 요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편집 요청 도움말]
토론 역사
역대 새턴상 시상식
saturn-award
제33회
(2006년)
제34회
(2007년)
제35회
(2008년)
마법에 걸린 사랑
마법에 걸린 사랑 (2007)
Enchanted
external/64f7a37...
장르
감독
케빈 리마
각본
빌 켈리
제작
배리 조지프슨
배리 소넌펠드
출연
촬영
돈 버지스
편집
그레고리 펠러
스티븐 A. 로터
음악
미술
스튜어트 워첼
의상
모나 메이
제작사
미국 국기 월트 디즈니 픽처스
미국 국기 안달라시아 프로덕션
미국 국기 조지프슨 엔터테인먼트
미국 국기 라이트 코스트 프로덕션
수입사
배급사
개봉일
상영 시간
106분
제작비
$85,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340,487,652
북미 박스오피스
$127,807,262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31,376명
스트리밍
상영 등급

1. 개요2. 예고편3. 출연진4. 줄거리5. 사운드트랙6. 평가
6.1. 클리셰를 뒤집다
7. 흥행8. 수상 및 후보9. 오마주 및 이스터에그10. 속편11. 여담12.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2007년에 개봉한 월트 디즈니 픽처스의 실사-애니메이션 합성 영화이다.[1] 흔치않은 실사와 2D 애니메이션의 합성으로 진행되는데 '현실과 동화의 만남'이라는 작품의 핵심 내용을 반영한 결과이다. 원제는 '마법에 걸린'이라는 뜻의 'Enchanted'. 기존 디즈니의 배급 계열사 브에나 비스타가 디즈니로 브랜드명이 변경된 이후 디즈니 영화 중에서는 처음으로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모션 픽처스의 브랜드명으로 배급한 영화이다. 이후 개봉한 디즈니 작품들은 모두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모션 픽처스라는 브랜드로 배급하게 된다.

국내에선 인지도가 높지 않지만 디즈니 프린세스의 역사에서 하나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고 할 정도로 흥미로운 요소들을 담았다. 1937년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로 첫 디즈니 프린세스가 등장한 지 70여년이 흐른 시점에 디즈니 프린세스의 스테레오타입을 풍자하며 능동적인 여성상 창출에 공을 들이는 디즈니의 '클리셰 비틀기'를 보여준 최초의 작품이다. 이후 공주와 개구리, 라푼젤, 겨울왕국, 모아나 등 새롭게 등장하는 디즈니 프린세스 캐릭터에 큰 영향을 끼쳤다.

2. 예고편[편집]


3. 출연진[편집]

4. 줄거리[편집]

5. 사운드트랙[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마법에 걸린 사랑/사운드트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편집]

6.1. 클리셰를 뒤집다[편집]

기존 디즈니 프린세스 프랜차이즈가 비판받은 요소들인 수동적 여성관과 지나치게 단순한 선악 구도 등 각종 클리셰들에 대한 디즈니의 자기 풍자 및 오마주가 가득하다. 백설공주, 신데렐라, 오로라 등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면 구시대적이라 일컬어지는 오리지널 프린세스 3인[2]과 디즈니식 운명적 사랑 이야기에 대한 셀프 디스가 드러나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다. 능동적인 여성상을 지향하는 공주와 개구리나 운명적인 사랑을 비판하는 겨울왕국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팬층에서는 디즈니 작품의 역사, 특히 디즈니 프린세스 관련 작품의 역사에서는 빠지지 않고 언급된다.

앞으로의 디즈니 프린세스의 방향성을 제시한 중요한 작품이기에 디즈니 프린세스에 포함되길 바라는 팬들도 있는 모양이지만, 주인공 지젤이 배우 에이미 애덤스에 기초를 둔 2차 창작 격 캐릭터인지라 수익성을 고려하여 디즈니 프린세스에서 제외되었다. 라푼젤과 겨울왕국 등 이후 나온 디즈니 프린세스들에게 매우 강한 영향을 미친 작품이라 아쉬워하는 여론이 매우 많으며, 디즈니 프린세스에 누가 추가로 가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냐는 이야기가 나올 때 자주 회자되는 작품이다. 다만 특이 케이스의 멤버로는 겨울왕국의 엘사안나가 있는데,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에 다른 멤버들과 출연하거나 공식 프린세스 유튜브 등에도 등장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다른 프린세스와는 달리 그들 겨울왕국 브랜드로서 독보적으로 활동하고 있다.[3][4]

7. 흥행[편집]

8500만 달러의 제작비로 전 세계 박스오피스에서 3억 4천만 달러의 흥행 수익을 거두었다.

8. 수상 및 후보[편집]

9. 오마주 및 이스터에그[편집]

  • 미녀와 야수의 주인공 의 성우 페이지 오하라가 TV 속 드라마의 여주인공으로 출연한다. 또한 이 장면에서 미녀와 야수의 사운드트랙 Beauty and the Beast가 조금 변형된 버전으로 흘러나온다.
    enchanted paige ...
  • TV에 자주 등장하는 기자의 이름이 '캐셀로티'인데, 백설공주의 성우 '애들리아나 캐셀롯티'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10. 속편[편집]

에이미 애덤스패트릭 뎀시가 돌아온 속편이 제작되어 2022년 가을에 디즈니+로 공개했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마법에 걸린 사랑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여담[편집]

  • 2D 애니메이션이 나오는 부분은 당연히 같은 계열사의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제작했을 것으로 보지만 실제로는 제임스 벡스터 애니메이션이라는 외부 제작사[5]가 담당했다. 이 당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는 이미 2D 애니메이션 제작을 거의 하지 않고 3D 애니메이션에 집중했기 때문에 2D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충분한 인력이 없었다.
  • 개봉 당시에는 한국어 더빙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2022년 10월 디즈니+를 통해 한국어 더빙이 공개되었다.
  • 결말만 압축해서 생각해보면, 두 커플이 서로 약혼자를 교환한다는, 심히 막장 드라마 같은 이야기가 된다.

12. 외부 링크[편집]

[1] 덕분에 공주와 개구리와 함께 2000년대 이후의 현대적 디즈니 2D 작화를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영화이다.[2] 에리얼부터는 공주들의 성격이 능동적이고 명랑하게 바뀌거나 공주가 왕자를 구하는 전개가 나타났다고 여겨진다.[3] 실제로 초판 레고 박스아트에 디즈니 프린세스 로고가 삽입되었으나 재판에서는 삭제되었다.[4] 사실상 디즈니 프린세스는 맞긴 맞으나, 겨울왕국 자체로 브랜드 밸류가 있는 만큼 디즈니 프린세스 브랜드 아래까지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겨울왕국 작품 자체가 다른 프린세스보다 이미 크게 성공한 만큼 섣불리 편입시키면 오히려 브랜드 가치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 뮬란의 경우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작중에서 군인으로 활약이 더 큰 캐릭터지만, 디즈니 프린세스로 팔리기 때문에 중매보러 갈 때 입은 드레스, 혹은 후반부에 샨유와의 결투에서 입은 푸른색 의상을 입힌다.[5] 설립자 제임스 벡스터는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1987년부터 1997년까지 10년간 재직한 애니메이터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 변경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