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어 코벨 - 나무위키

그레고어 코벨

최근 수정 시각:
7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4414771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AS8075(Microsoft Corporation)
토론 역사
다른 뜻 아이콘  
코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우크라이나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코벨(우크라이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관련 문서는 여기를 참조해주세요.
그레고어 코벨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Gregor Kobel(23-...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No. 1
VC
그레고어 코벨
Gregor Kobel
출생
국적
신체
195cm / 체중 88kg[1]
포지션
주발
오른발
소속
유스
FC 시펠트 취리히 (2004~2005)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2005~2016)
TSG 호펜하임 U-19 (2014~2016 / 임대)
선수
TSG 1899 호펜하임 (2016~2020)
FC 아우크스부르크 (2019 / 임대)
VfB 슈투트가르트 (2019~2020 / 임대)
VfB 슈투트가르트 (2020~202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1~ )
국가대표
5경기[2] (스위스 / 2021~ )
SNS
인스타그램 아이콘
정보 더 보기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스위스 국적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골키퍼. 현재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부주장을 맡고 있다.

2. 클럽 경력[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그레고어 코벨/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코벨스위스

3.1. UEFA 유로 2020[편집]

요나스 오믈린이 부상으로 스위스 국가대표팀 명단에서 빠지게 되면서 UEFA 유로 2020에 참가하는 스위스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본인으로써는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를 수도 있는 좋은 기회지만, 스위스 대표팀에서 얀 조머의 입지가 워낙 탄탄한지라 도르트문트 팬들은 팀 훈련 합류 시기만 늦춰진다며 아쉬워하는 중.

3.2. 2022 카타르 월드컵[편집]

얀 조머의 부상으로 월드컵 조별리그 3차전 세르비아와의 경기에서 선발로 나와 본인의 월드컵 선발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

팀은 난타전 끝에 3:2로 승리하였고 자신의 월드컵 데뷔전을 승리로 장식한것은 물론 이 승리로 스위스의 16강 진출이 확정지되었다.

하지만 그 다음 포르투갈과의 16강전은 벤치를 지켰고 조국이 6:1로 대패하는 모습을 바라보게 되었다.

아직까지는 얀 좀머의 기세가 등등하지만 좀머의 나이가 30대 중반이므로 시간이 지나 은퇴하게되면 스위스 국대 주전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골키퍼에게 필요한 반사신경을 이용한 선방과 현대 축구에서 요구하는 후방 빌드업 전개력을 갖춘 골키퍼. 반사신경은 물론, 순발력까지 뛰어나 역동작에 걸려도 발을 뻗어 막거나 다시 튀어올라 선방해낸다. 순발력이 좋은 것뿐만 아니라 위치선정과 판단력도 좋아서 넓은 커버 범위를 방어해낸다. 롱 킥과 준수한 발밑을 통한 정확한 볼 배급을 바탕으로 빠르고 정확한 공격 전개가 가능하다.

특히 코벨의 가장 큰 장점은 페널티 킥 선방을 비롯한 위기 상황에서의 슈퍼세이브. PK를 상당히 잘 막는 것뿐만 아니라 위험한 순간에 좋은 판단력과 반사신경 덕분에 들어갈 것 같은 공도 선방해내면서 변수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3][4]

코벨의 우려스러운 부분은 크로스 저지율이 낮다는 것과 볼 처리에 있어 기복을 드러낸다는 점이 꼽힌다. 공을 선방해내는 데에는 훌륭하지만, 핸들링이 아쉬워 세컨드 볼 상황에서 실점하거나 슈팅을 완전하게 선방해내지 못해 실점을 내준다. 또한 경기 중 판단 미스로 인해 큰 실수를 한 번씩 범한다는 큰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 골키퍼임에도 잔부상에 시달리는 빈도가 상당하다. 매 시즌마다 잔부상을 달고 사는 유형으로, 골키퍼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골문 앞에서의 안정감인 것을 생각하면 기량 유지의 측면에서는 우려점을 드러낸다. 그렇지만서도, 이러한 단점들을 잘 보완한다면 월드클래스급 키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많은 선수다..

5. 기록[편집]

5.1. 개인 수상[편집]

6. 여담[편집]

  • 커리어 내내 독일어권 국가에서 뛰었는데 영어가 유창하다. 발음도 원어민급.

7. 같이 보기[편집]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3-24 시즌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스위스 국기
GK
Gregor Kobel
VC
2
스페인 국기
DF
Mateu Morey Bauzà
4
독일 국기
DF
Nico Schlotterbeck
5
알제리 국기
DF
Ramy Bensebaïni
6
튀르키예 국기
MF
Salih Özcan
8
독일 국기
MF
Felix Nmecha
9
코트디부아르 국기
FW
Sébastien Haller
10
잉글랜드 국기
FW
Jadon Sancho
11
독일 국기
MF
Marco Reus
14
독일 국기
FW
Niclas Füllkrug
15
독일 국기
DF
Mats Hummels
16
벨기에 국기
FW
Julian Duranville
17
독일 국기
FW
Marius Wolf
18
독일 국기
FW
Youssoufa Moukoko
19
독일 국기
MF
Julian Brandt
20
오스트리아 국기
MF
Marcel Sabitzer
21
네덜란드 국기
FW
Donyell Malen
22
네덜란드 국기
DF
Ian Maatsen
23
독일 국기
MF
Emre Can
C
25
독일 국기
DF
Niklas Süle
26
노르웨이 국기
DF
Julian Ryerson
27
독일 국기
FW
Karim Adeyemi
30
독일 국기
MF
Ole Pohlmann
31
독일 국기
GK
Silas Ostrzinski
32
기니 국기
MF
Abdoulaye Kamara
33
독일 국기
GK
Alexander Meyer
35
독일 국기
GK
Marcel Lotka
38
독일 국기
GK
Kjell Wätjen
43
잉글랜드 국기
FW
Jamie Bynoe-Gittens
47
독일 국기
DF
Antonios Papadopoulos
48
독일 국기
FW
Samuel Bamba
출처: 분데스리가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켓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1월 25일

[1] 잔여시즌 임대[2] 잔여시즌 임대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얀 조머
Yan Sommer
1988년 12월 17일 (25세)
87
0
12
1994년 6월 6일 (29세)
6
0
23
앙토니 라시오피
Anthony Racioppi
1998년 12월 31일 (25세)
0
0
-
1997년 12월 6일 (26세)
5
0
-
1994년 1월 10일 (30세)
4
0
-
필리프 쾬
Philipp Köhn
1998년 4월 2일 (26세)
0
0
DF
2
에디밀송 페르난드스
Edimilson Fernandes
1996년 4월 15일 (28세)
23
2
3
1992년 1월 7일 (32세)
13
1
4
니코 엘베디
Nico Elvedi
1996년 9월 30일 (27세)
50
1
5
마누엘 아칸지
Manuel Akanji
1995년 7월 19일 (28세)
57
3
13
1992년 8월 25일 (31세)
113
9
15
1996년 1월 11일 (28세)
7
0
16
1998년 2월 4일 (26세)
14
0
22
파비안 셰어
Fabian Schär
1991년 12월 20일 (32세)
78
8
-
질반 비드머
Silvan Widmer
1993년 3월 5일 (31세)
39
3
MF
6
1996년 11월 20일 (27세)
52
3
8
1992년 4월 15일 (32세)
63
8
10
그라니트 자카 주장 아이콘
Granit Xhaka
1992년 9월 27일 (31세)
121
14
20
미셸 애비셔
Michel Aebischer
1997년 1월 6일 (27세)
14
0
22
필립 우그리닉
Filip Ugrinic
1999년 1월 5일 (25세)
2
0
23
제르단 샤키리
Xherdan Shaqiri
1991년 10월 10일 (32세)
119
29
-
스티븐 추버
Steven Zuber
1991년 8월 17일 (32세)
52
10
-
지브릴 소우
Djibril Sow
1997년 2월 6일 (27세)
41
0
-
1993년 11월 11일 (30세)
19
4
-
파비안 리더
Fabian Rieder
2002년 2월 16일 (22세)
4
0
-
아르돈 야샤리
Ardon Jashari
2002년 7월 30일 (21세)
2
0
FW
7
2000년 12월 4일 (23세)
11
6
9
노아 오카포
Noah Okafor
2000년 5월 24일 (24세)
19
2
11
레나토 슈테펜
Renato Steffen
1991년 11월 3일 (32세)
38
4
14
앤디 제키리
Andi Zeqiri
1999년 6월 22일 (24세)
11
0
17
1998년 8월 5일 (25세)
40
7
-
1992년 2월 22일 (32세)
93
25
-
브렐 엠볼로
Breel Embolo
1997년 2월 14일 (27세)
63
13
-
1996년 12월 27일 (27세)
12
5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월 17일

[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공식 프로필[2] 2023년 6월 17일 기준[3] 특히 라이프치히전 포르스베리의 PK를 발을 뻗어 막아내는 장면은 압권.[4] 히츠나 뷔르키는 그동안 도르트문트에서 PK를 막은 적이 없기 때문에 몇 안되는 장면이지만 이러한 것들은 긍정적인 요소 일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 변경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