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실베스트리 - 나무위키

앨런 실베스트리

최근 수정 시각:
10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14414435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AS8075(Microsoft Corporation)
토론 역사
앨런 실베스트리
Alan Silvestri
external/www.run...
본명
앨런 앤서니 실베스트리
Alan Anthony Silvestri
출생
국적
신체
187cm
학력
버클리 음악대학 (명예 박사)
직업
작곡가, 지휘자, 오케스트레이터
활동
1972년 ~ 현재
링크
홈페이지 아이콘 IMDb 로고 X Corp 아이콘(블랙) 인스타그램 아이콘

1. 개요2. 소개3. 생애4. 참여 작품5. 기타

1. 개요[편집]

미국의 영화 음악 작곡가.

50여년 동안 영화 음악가로 활동하며 활력 넘치는 선율의 오리지널 스코어주제가를 작곡해 많은 관객과 헐리우드 제작자의 사랑을 받아왔다. 영화를 대표할만한 중독성 있는 테마 멜로디와 강렬하고 기운 넘치는 오케스트레이션이 음악적 특징으로 꼽힌다.

대표작은 《포레스트 검프》, 《백 투 더 퓨처》, 《어벤져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엔드게임》, 《레디 플레이어 원》, 《퍼스트 어벤져》, 《프레데터》 등.

2. 소개[편집]

▲ 할리우드 인 비엔나 콘서트에서 공연된 앨런 실베스트리의 영화음악 메들리

1980년대에서 2020년대까지 오랜 기간 동안 약 120여 편의 영화음악을 작곡해 헐리우드에서 상당한 입지를 자랑한다. 《폴라 익스프레스》와 《캐스트 어웨이》의 음악으로 두 차례 그래미상을 수상했고#반 헬싱》, 《프레데터》, 《백 투 더 퓨쳐》의 음악으로 세 차례 새턴상을 수상했다. 또한 그가 작곡한 다큐멘터리 《코스모스》의 음악은 두 차례 에미상 최고 음악상을 수상했다.# 아카데미 시상식의 부문 중 작곡과 관련된 음악상주제가상에서 두 번 후보로 올랐지만 수상한 적은 없다.

비록 존 윌리엄스한스 짐머처럼 대중적으로 크게 알려지진 않았지만, 이 사람 역시 앞의 두 명 보다는 덜할 뿐이지 유명한 거장이며 작곡한 영화음악의 상당수가 널리 알려져 영화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백 투 더 퓨처》, 《포레스트 검프》, 《캐스트 어웨이》, 《폴라 익스프레스》, 《베오울프[1]로버트 저메키스가 연출한 대부분의 작품들의 음악을 작곡하였다.

3. 생애[편집]

이탈리아 이민자의 가정에서 태어나서 뉴저지주에서 자라났다. 보스턴의 버클리 음악대학에서 재학했으며[2] 영화음악 작곡가가 되기 이전에는 재즈 연주에 푹 빠져 있었고, 뉴저지의 지역 밴드 The Wildcats의 드러머로 활동했었다. 이때엔 비밥 기타리스트가 되고자 했었다.

실베스트리는 재즈 연주자가 되고자 무작정 1970년에 로스앤젤레스로 이사했다. 그는 그 시절에 대해 이렇게 회고했다. "나는 1970년에 빈털터리로 할리우드에 왔다. 아무런 목표나 계획도 없었다. 영화도 보러가지 않았고 작곡가나 작곡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몰랐다." 모텔에서 거주하며 세션 기타 연주로 가끔씩 돈을 벌던 실베스트리는 어떨결에 유명 작사가 브랜포드 크레이그(Bradford Craig)[3] 밑에서 일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행운은 이게 끝이 아니었다. 1972년 어느 날 크레이그에게 잘못된 전화가 걸려왔다. 그 전화는 작곡을 의뢰하는 전화였기에 작사가였던 크레이그는 실베스트리에게 전화를 넘겼다. 통화 발신인은 어느 중소 영화사의 프로듀서였는데 저예산 액션영화 《도베르만 갱》의 음악을 맡아줄 수 있냐고 물었다. 실베스트리는 "하겠다"고 응답했다. 물론 영화음악에 대해선 아무것도 몰랐기에 곧장 서점으로 가서 영화음악 작곡법에 관한 책을 구매했다. 영화의 음악을 작업하면서 영화음악 작업에 흥미를 느낀 실베스트리는 작업을 마친 후 TV계로도 진출하여 인기 연속극 《CHiPs》[4]의 음악을 맡게 되었고, 핵심 작곡가로서 139개의 에피소드 중 95개 에피소드의 음악을 작곡했다.[5]

《CHiPs》의 메인 테마곡
《로맨싱 스톤》의 메인 테마곡

영화보다는 TV 연속극 위주로 활동하던 실베스트리는 또 다른 전화를 받게 된다. 《CHiPs》에서 실베스트리와 함께 협업한 적이 있는 어느 음악 편집자[6]가 건 전화였는데, 자신이 맡은 《로맨싱 스톤》이란 영화에 지금까지 들을 수 없던 신선한 음악을 만들 작곡가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그날 밤 실베스트리는 그 영화의 감독 로버트 저메키스를 만났고, 감독 저메키스는 우선 영화의 남미 로케이션 장면에 어울리는 3분 분량의 음악을 만들어달라고 부탁을 했다. 실베스트리는 집에서 밤을 새워 3분짜리 데모 곡을 만들어왔는데, 이 데모곡이 마음에 쏙 든 저메키스는 실베스트리를 음악 담당으로 고용했다. 이는 수 십 년을 걸쳐 이어갈 두 인물의 굳건한 협업 관계의 시작이었다.

실베스트리가 담당한 《로맨싱 스톤》의 음악은 록과 재즈가 결합된 여유롭고 펑키한 스코어였고, 음악에 만족한 저메키스는 실베스트리에게 차기작 제안을 했다. 그 작품은 바로 개봉 후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게 될 《백 투 더 퓨쳐》. 저메키스가 실베스트리에게 한 유일한 요구는 "음악이 웅장해야한다"였다.[7] 실베스트리는 대편성 관현악으로 《백 투 더 퓨쳐》에 걸맞는 스코어를 만들었으며, 단 몇 개의 음표만으로 즉시 영화의 메인 테마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영웅적인 멜로디는 영화에서 상당한 공헌을 했다. 비록 대중들에겐 휴이 루이스를 비롯한 화려한 스타들이 참여한 보컬곡 OST가 큰 인기를 끌었으나,[8] 실베스트리의 스코어 OST 역시 높은 평가를 받아 인지도를 크게 넓히게 되었다.
《백 투 더 퓨쳐》의 메인 테마곡

4. 참여 작품[편집]

공식 홈페이지에서 참여 작품이 확인 가능하다.
개봉연도
작품명
원제
1984
로맨싱 스톤
Romancing the Stone
1985
Back to the Future
판당고
Fandango
캣츠아이
Cat's Eye
환상의 휴가
Summer Rental
1986
에이라의 전설
The Clan of the Cave Bear
The Delta Force
불타는 도전
American Anthem
협곡의 실종
Flight of the Navigator
노 머시
No Mercy
1987
가짜 의사 대소동
Critical Condition
포춘
Outrageous Fortune
Predator
Overboard
1988
Who Framed Roger Rabbit
내 친구는 외계인
Mac and Me
새엄마는 외계인
My Stepmother is an Alien
1989
The Abyss
Back to the Future Part II
1990
다운타운
Downtown
Back to the Future Part III
영 건 2
Young Guns II
Predator 2
1991
스포트라이트
Soapdish
귀여운 악마
Dutch
Shattered
신부의 아버지
Father of the Bride
1992
엄마는 해결사
Stop! Or My Mom Will Shoot
푸른 골짜기
FernGully: The Last Rainforest
The Bodyguard
1993
사고뭉치 형사
Cop and a Half
Super Mario Bros.
킬러 나이트
Judgment Night
그럼피 올드맨
Grumpy Old Men
1994
탐정 포그와 애완견 애꾸
Clean Slate
분노의 폭발
Blown Away
리치 리치
Richie Rich
Forrest Gump
1995
The Quick and the Dead
Judge Dredd
신부의 아버지 2
Father of the Bride Part II
1996
말뚝상사 빌코
Sgt. Bilko
Eraser
1997
사랑은 다 괜찮아
Fools Rush In
The Long Kiss Goodnight
Volcano
Contact
마우스 헌트
Mouse Hunt
1998
별난커플 2
Odd Couple II
The Parent Trap
홀리 맨
Holy Man
프랙티컬 매직
Practical Magic
1999
Stuart Little
2000
레인디어 게임
Reindeer Games
왓 라이즈 비니스
What Lies Beneath
What Women Want
Cast Away
2001
멕시칸
The Mexican
The Mummy Returns
세렌디피티
Serendipity
2002
쇼타임
Showtime
Lilo & Stitch
Stuart Little 2
러브 인 맨하탄
Maid in Manhattan
2003
Identity
Tomb Raider: The Cradle of Life
2004
Van Helsing
2006
The Polar Express
The Wild
Night at the Museum
2007
Beowulf
2009
Night at the Museum: Battle of the Smithsonian
G.I. Joe: Rise of Cobra
A Christmas Carol
2010
A-특공대
The A-Team
2011
Captain America: The First Avenger
2012
The Avengers
Flight
2013
The Croods
레드: 더 레전드
Red 2
2014
Cosmos - A Spacetime Odyssey
Night at the Museum: Secret of the Tomb
2015
The Walk
2016
Allied
2018
Ready Player One
Avengers: Infinity War
Welcome to Marwen
2019
Avengers: Endgame
2020
The Witches
2022
Pinocchio

5. 기타[편집]

  • 본인이 작곡한 음악을 녹음할 때 항상 직접 오케스트라 지휘를 한다.
  • 2011년 에서 열린 오케스트라 공연에서 앨런 실베스트리가 직접 백 투 더 퓨처의 음악을 지휘했다.
  • 톰 크루즈 주연의 《미션 임파서블》의 음악을 맡았지만 작업 도중 음악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은 임원진과 톰 크루즈에 의해 하차당했다. 이후 음악을 맡게 된 건 팀 버튼 감독의 페르소나 음악가 대니 엘프만.
  • 첫 아이 Alex가 태어난 후 LA는 가족이 생활하기에 부적합한 곳이라고 느껴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에 있는 카멜 하이렌즈(Carmel Highlands)로 이사했다. 실베스트리의 작업실은 집 부지 내에 세운 석조 건물에 있다.
  • 굉장한 와인 애호가로 캘리포니아주 카멜 밸리에 'Silvestri Vineyards'라는 포도원을 소유하고 있다.[9] 연간 생산량은 3,000 케이스 정도라고. 또한 와인 시음실도 운영하고 있다. 그의 조부모는 요식업계에서 일했는데 어린 시절에 가족이 다 같이 지하실에서 와인을 만든 추억이 있다고 한다.
  • 소와 말 등 여러 가축을 키우는 목장을 소유하고 있다. 한 때는 작업실을 떠나 트랙터를 운전하며 목장 경영에만 힘을 쏟은 적도 있다.
  • 조종사 면허를 가지고 있어 종종 직접 경비행기를 몰고 스튜디오로 간다고 한다.
  • 그의 큰 아들 Joey가 제1형 당뇨병을 앓고 있고 한 번은 응급실에서 목숨을 잃을 뻔 한 적도 있었다. 그 때문에 그와 그의 가족은 국제청소년당뇨병연구재단(JDRF)에 참여 중이다. 아내 산드라 실베스트리는 JDRF의 지역 지부를 설립했으며, 앨런은 1999년에 JDRF 어린이 회의의 의장을 맡기도 했다. 그리고 당뇨병 연구 지원을 위해 200만 달러를 모금했다고.

[1] 런닝맨의 김종국 테마곡으로 사용되었다. 원제는 What We Need is A Hero[2] 2년 다니고 그만 뒀다고 한다.[3] 아카데미와 골든글로브 주제가상 후보에 오른 작사가로, 퀸시 존스와 함께 일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4] 시즌 6까지 제작된 인기 연속극. 캘리포니아 고속 순찰대원 두 명을 주인공으로 한 버디 액션 범죄 드라마이다.[5] 국내 TV 드라마 업계에서는 후반작업 시간이 매우 부족한 편이라 음악을 미리 만들어놓은 뒤 편집본을 보고 음악을 붙이는 편이라면,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엔 영화 스코어를 작곡하듯이 각 장면마다 음악을 만드는 편이다. 그렇다고 후반작업 시간이 긴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작곡가 개인의 사정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대신 다른 작곡가가 들어와서 스코어를 작곡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 실베스트리가 총 139화 중 44편의 에피소드는 맡지 못한 이유가 이것이다.[6] 영화음악 부서의 직책 중 하나이다. 작곡가가 고용되기 전 편집본에 음악을 임시로 입히거나, 작곡가가 곡을 만든 이후 편집본에 변동이 생겼을 경우 음악이 화면에 어긋나지 않게 편집하는 업무를 한다.[7] 저메키스의 멘토이자 작품의 프로듀서였던 스티븐 스필버그는 과연 실베스트리가 그런 작업을 할 수 있을 지 의문스러워했다. 당시 실베스트리는 TV 연속극 작곡가로 그나마 알려진 상태였고 웅장한 규모의 오케스트라 음악을 쓸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확인되지 않았다. 《로맨싱 스톤》은 현악 오케스트라가 쓰이긴 했으나 기본적으로 록과 재즈가 베이스인, 당시 TV 드라마 스타일의 음악에서 별로 벗어나지 않은 스코어였다.[8] 공식 사운드트랙에는 실베스트리의 스코어가 단 한 곡 실려있을 뿐이었다. 다만 스코어의 핵심적인 악상들을 모두 담은 8분짜리 서곡 형태이기에 《백 투 더 퓨쳐》의 음악 세계를 즐기기에는 충분하다.[9] 승마 선수였던 그의 딸 Alex가 승마 연습을 할 수 있게 구매한 땅을 활용한 것이라고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 변경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