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푸틴, 우크라전 후 4번째 대면…中은 러 어떻게 도왔나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시진핑-푸틴, 우크라전 후 4번째 대면…中은 러 어떻게 도왔나

中, 핵심부품 제공 러 군비증강 돕고 수출길 '좁아진' 러 원유 수입도 늘려 전문가 "홍콩·UAE 유령회사도 이용…드론 등 민간·군용 이중용도 제품 매달 4천억원어치 수출"

시진핑-푸틴, 우크라전 후 4번째 대면…中은 러 어떻게 도왔나
中, 핵심부품 제공 러 군비증강 돕고 수출길 '좁아진' 러 원유 수입도 늘려
전문가 "홍콩·UAE 유령회사도 이용…드론 등 민간·군용 이중용도 제품 매달 4천억원어치 수출"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6일 중국에 도착해 1박2일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함에 따라 우크라이나전 이후 한층 돈독해진 양국 관계에 관심이 쏠린다.
영국 BBC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 방중은 7개월 만으로, 중·러 정상이 만나는 것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4번째다.
이 기간 중국은 미국 등 서방권의 제재 충격을 완화하려는 러시아의 든든한 후원자가 됐다.
특히 중국은 핵심 부품을 공급함으로써 러시아의 군비 증강을 도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달 방중 기간 BBC와 인터뷰에서 "이들(중국의 부품들)은 더 많은 탄약과 탱크, 장갑차, 미사일을 만들기 위한 러시아의 노력을 돕는 데 쓰였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러시아가 수입하는 공작기계의 약 70%, 초소형 전자 공학 제품의 90%가 중국산"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이 러시아에 실질적인 무기만 제공하지 않을 뿐 사실상 모든 것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은 이달 초 중국과 홍콩의 관련 기업 20곳을 제재 리스트에 올렸다.
여기에는 드론 부품 수출업체와 러시아가 다른 기술에 대한 서방 제재를 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알려진 기업들이 포함됐다.
영국 싱크탱크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마리아 샤지나 연구원은 "중국은 러시아에 대한 반도체 최대 수출국인데, 종종 홍콩과 아랍에미리트(UAE)의 유령회사를 통하고 있다는 증거가 있다"고 밝혔다.
샤지나 연구원은 "상당수 중국 기업은 군사용과 민간용 사이 회색 공간을 악용해 민간 드론도 (러시아에) 공급하고 있다"고도 했다.
미 싱크탱크 카네기재단이 중국 무역 통계를 분석한 결과 중국은 러시아에 매달 3억달러(약 4천50억원) 이상의 민간·군사 이중 용도 아이템을 수출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 최전방 정보를 얻기 위해 중국의 위성 기술을 이용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중국은 군사용 부품 말고도 서방의 대러 제재 이후 자동차와 의류, 원자재 등을 러시아에 수출해왔다.
양국 사이 교역액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인 2천400억달러에 달해 우크라이나전이 발발한 2021년 이후 64% 급증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중국의 러시아에 대한 수출은 1천110억달러, 러시아의 대중 수출은 1천290억달러였다.
이 가운데 중국산 자동차와 부품의 대러 수출은 재작년 60억달러에서 작년 230억달러로 급상승했다.
다만 AFP통신에 따르면 올해 3~4월 중국의 대러 수출은 연초 급증세에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작년 12월 러시아 군수와 연관된 해외 은행에 대한 2차 제재(secondary sanctions)를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행정명령은 대러 제재 위반시 미 재무부가 달러화가 지배하는 글로벌 금융시스템에서 해당 은행을 배제하도록 했다.
중·러 교역에 관여하는 양국 소식통 8명은 AFP에 "최근 며칠간 몇몇 중국 은행이 러시아 측 고객과 거래를 중단하거나 늦췄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은 이후 미국과 영국, 유럽연합(EU)은 대러 제재에 따라 러시아산 원유와 천연가스 수입을 대폭 줄였는데, 중국은 인도와 함께 감소분을 보전해줬다.
중국은 작년 러시아로부터 재작년보다 24% 늘어난 총 1억700만t의 원유를 수입했다. 러시아가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대중국 최대 수출국이 된 것이다.
중국은 또한 2021년 대비 77% 폭증한 액화석유가스(LPG) 800만t을 지난해 러시아에서 수입했다.
2019년 완공된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을 통해 러시아산 가스를 공급받고 있는 중국은 러시아와 이를 확장하는 '시베리아의 힘 2'도 추진하고 있다.
'시베리아의 힘 2'가 중국의 신중한 태도로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러시아 정부 연간 수입의 약 절반은 석유와 가스에서 나온다.
anfou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봉석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